728x90

게임프로그래머 10

MSB8020 Error v143에 대한 빌드 도구를 찾을 수 없습니다. 해결법

오류 MSB8020 v143에 대한 빌드 도구(플랫폼 도구 집합 = 'v143')를 찾을 수 없습니다. v143 빌드 도구를 사용하여 빌드하려면 v143 빌드 도구를 설치하십시오. [프로젝트] 메뉴를 선택하거나 솔루션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한 다음 "솔루션 대상 변경"을 선택하여 현재 Visual Studio 도구로 업그레이드할 수도 있습니다. 설치된 플랫폼 도구 집합과 프로젝트의 설정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 설치된 플랫폼 도구 집합으로 변경해주거나, 프로젝트 설정을 변경해서 해결해주면 됨. 프로젝트 속성 > 일반 탭으로 이동. 플랫폼 도구 집합 드롭다운 받스를 눌러서 변경. 이렇게 변경하고 다시 빌드 해보면 성공.

[UE] 간단한 입력 처리 C++ 구현 및 향상된 입력 시스템 활용

언리얼 엔진 5(Unreal Engine 5) 로 입력 처리를 C++ 로 구현해본다. 축 및 액션 매핑은 이제 폐기되었지만, 구버전으로 구현 해보고 향상된 입력 액션 및 매핑 컨텍스트로 전환까지 진행한다. Pawn 을 부모클래스로 한 새 클래스를 생성. 각 액션과 축 입력을 처리할 메소드 생성. cpp 코드의 SetupPlayerInputComponent 함수에서 축 입력과 액션을 바인딩 해주고 내용을 작성. 클래스를 상속받는 블루프린트를 만들고,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 Scene Component 아래에 Sphere 메시를 추가. C++ 클래스의 GameModeBase 도 블루프린트 클래스로 생성한 후, 월드 셋팅에서 기본 게임 모드로 설정. 디폴트 폰 클래스(Default Pawn Class) 를 앞에..

Unreal 엔진 2023.07.18

[UE] Stack-O-Bot 프로젝트 튜토리얼 스터디 노트 - 3편

2023.07.11 - [Unreal 엔진] - [UE] Stack-O-Bot 프로젝트 튜토리얼 스터디 노트 - 1편 2023.07.11 - [Unreal 엔진] - [UE] Stack-O-Bot 프로젝트 튜토리얼 스터디 노트 - 2편 [UE] Stack-O-Bot 프로젝트 튜토리얼 스터디 노트 - 3편 스터디 노트 시리즈 3편. 앞서 리소스를 임포트하고, 머티리얼을 만들어서 레벨을 제작해봄. 이번엔 게임 플레이에 필요한 액터들을 만들어서 교체하고 동작시켜보는 단계. 게임 플레이 액터 이번엔 게임 플레이에 대한 내용들. 플레이 모드로 진입하면, 아웃라이너에 새로운 액터들이 자동/동적으로 생성됨. 디폴트 액터들. (노란색 오브젝트들) GameMode, PlayerController, Pawn 등. 이 액터..

Unreal 엔진 2023.07.13

[UE] Stack-O-Bot 프로젝트 튜토리얼 스터디 노트 - 1편

작은 톱다운 어드벤쳐 게임 제작 튜토리얼 커리큘럼 - Static Mesh, Texture 임포트 - Material 제작 - Skeletal Mesh, Animation 임포트 - Simple Interaction 시스템 제작 - 약간의 마무리, 폴리싱 작업 프로젝트 생성 "기본" 템플릿으로 빈 프로젝트를 생성. Stack-O-Bot 프로젝트의 에셋을 활용해서 빈 프로젝트를 채워나가는 구성. 기존 맵은 사용하지 않고, 아무것도 없는 빈 레벨에서 시작. 초반엔 기본적인 에디터 설명. Ctrl + Space : Content Drawer 토글 F10 : 사이드바 토글 스피어를 만들어본다. 뷰포트 라이트 효과를 제거하면 보임. "메뉴 > 창 > 환경 라이트 믹서" 를 열어서 "디렉셔널 라이트"(혹은 애트머스..

Unreal 엔진 2023.07.11

<필독! 개발자 온보딩 가이드> 프로그래머를 위한 도서 메모

책 제목은 크게 끌리진 않았는데, 목차를 보니 기대했던 것 보다 구성이 괜찮았습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뿐 아니라, 게임 프로그래머에게도 좋은 구성이란 생각이라 메모 해봅니다. 이 책은 크리스 리코미니 (Chris Riccomini), 드미트리 리아보이 (Dmitriy Ryaboy) 두 외국 작가가 쓴 번역서입니다. 원서의 제목은 한국어 번역본과는 온도차이가 좀 있었습니다. The Missing Readme: A Guide for the New Software Engineer 누락된 Readme, 신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위한 가이드 책의 목차는 원서 제목에 좀 더 충실하다는 생각. 단, 한국어판 번역서 제목은 아무래도 마케팅적인 측면에서 독특한? 트랜디한? 제목을 붙인 것 같습니다. 출판 일자는 아래..

게임개발자 직군 탐구 - 테크니컬 게임 디자이너 (Technical Game Designer)

. . 리서치를 끝내고 정리해보는 포스트. ​ 리서치 내용은 아래 포스트 참조. 1편 : https://wonsorang.tistory.com/563 리서치 : 테크니컬 게임 디자이너 Technical Game Designer . . 조사 : 테크니컬 게임 디자이너 (Technical Game Designer) (혹은, 테크니컬 디자이너) ​ 대규모 게임 개발 프로젝트는 많은 수의 개발자들이 모여 협업을 통해 진행된다. 이 많은 수의 개발자들은 다양한.. wonsorang.tistory.com 2편 : https://wonsorang.tistory.com/581 리서치 : 테크니컬 게임 디자이너 Technical Game Designer (2편) . . 앞서 리서치의 이어지는 두 번째 포스트 전 포스트 ..

리서치 : 테크니컬 게임 디자이너 Technical Game Designer (2편)

. . 앞서 리서치의 이어지는 두 번째 포스트 전 포스트 : https://wonsorang.tistory.com/563 리서치 : 테크니컬 게임 디자이너 Technical Game Designer . . 조사 : 테크니컬 게임 디자이너 (Technical Game Designer) (혹은, 테크니컬 디자이너) ​ 대규모 게임 개발 프로젝트는 많은 수의 개발자들이 모여 협업을 통해 진행된다. 이 많은 수의 개발자들은 다양한.. wonsorang.tistory.com 조사 : 테크니컬 게임 디자이너 (테크니컬 디자이너) (Technical Game Designer) ​ 해외의 게임회사에서 찾는 테크니컬 게임 디자이너의 구인 공고를 모아보고 공통점을 정리해본다. ​ Rockstar Games https://..

리서치 : 테크니컬 게임 디자이너 Technical Game Designer

. . 조사 : 테크니컬 게임 디자이너 (Technical Game Designer) (혹은, 테크니컬 디자이너) ​ 대규모 게임 개발 프로젝트는 많은 수의 개발자들이 모여 협업을 통해 진행된다. 이 많은 수의 개발자들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연한 협업이 되려면 어느정도 다른 분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여러 분야에 이해도가 높은 개발자의 경우, 역할을 재설정 함으로써 더 높은 능률을 보이기도 한다. 가령, 테크니컬 아티스트(Technical Artist)의 경우 그래픽스 프로그래밍 지식과 아트 지식을 융합/활용하여 명확한 역할을 설정함으로써 개발팀에 더 높은 개발 효율을 만들어낼 수 있다. ​ 마찬가지로, 게임 프로그래밍 지식과 게임 디자인 지식을 융합/활용하여 명확한 역할,..

게임 프로그래밍 패턴, 앞부분 만이라도 꼭 읽어봤으면 싶은 책

게임 프로그래밍 패턴 책을 읽었습니다. 다 읽진 않고 가볍게 훑어보는 정도로. ​ 이 책은 앞부분, 게임 프로그래밍에 대해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공감할만한 재밌는 이야기들과, 뒷부분 패턴 레퍼런스 구성으로 집필된 책입니다. ​ 앞부분은 재밌고 빠르게 읽어보기 좋습니다. 그리고 아주 공감가는 부분들이 많아서 되도록 많은 사람들이 꼭 한 번쯤은 읽거나, 인지했으면 싶은 부분도 있었습니다. ​ 가령 한 부분만 발췌해본다면, 이 그림만이라도 꼭 마음 속에 담길 희망해봅니다. 프로그래밍 업무는 코드를 작성하는 걸로 모두 끝나는 게 아니랍니다. 업무의 내용은 물론이고 향후 확장, 수정, 변경될 내용도 파악되어야 합니다. ​ 그리고 코드를 작성한 뒤에 업무가 끝이 아니라, 코드를 정리하는 부분 역시 아주 중요합니다!!..

(게임)프로그래밍 카테고리 신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를 새로 만들었습니다. 새삼스럽지만, 제 본업은 게임 프로그래머입니다. 게임회사를 다니면서 주욱 게임 프로그래밍을 주 업으로 먹고 살고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는 없었지만, 블로그에는 딱히 일 관련 이야기를 쓰지 않고 있었는데, 정보를 정리하고 기록하는 용도로 아카이빙을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역치까지 차올랐습니다. ​ 그래서 시작으로 블로그 카테고리부터 만들었습니다. 가끔씩 프로그래밍 관련해서 생각나는 이야기들이 있거나 정리해놓고 싶은 자료들이 있다면 이 카테고리에 기록하도록 하겠습니다. ​ 혹시 궁금하거나 관심있을만한 주제가 있다면 관련 글 요청도 환영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