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프로그래머 23

프로그래밍, 구현이 더 중요? 설계가 더 중요?

© annca, 출처 Pixabay ​ "프로그래밍은 잘 동작만 하면 된다" 프로그래밍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언젠가 들어봤을 이야기입니다.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오해를 부르기도 좋은 말입니다. ​ 이 말은 마치, "[설계를 대충 해도,] 프로그래밍은 잘 동작만 하면 된다" 라고 말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 이렇게 한 번 비유해볼까요. "설계를 대충 해도, 집은 잘 살기만 하면 된다" 어떤가요? 제가 느끼기엔, 앞뒤가 안 맞는 말로 보입니다. 집을 대충 설계하고 지었는데 잘 살아질 리가 없죠. 어딘가 분명 문제가 있을 겁니다. 고려되지 않은 배선, 수도관, 보일러, 에어컨 위치, 방음재, 단열재, 마감, 바닥재 등등등... 고려할 것이 많은 만큼, 살기 좋은 집을 지으려면 집을 대충 설계..

프로그래밍, OOP 설계 원칙 SOLID

© vishnurnair, 출처 Unsplash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언어로 프로그래밍을 시작했고, 여전히 OOP로 코딩하면서 게임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런 패러다임을 바꿀 만큼의 더 큰 범주의 고민은 내공이 부족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앞으로도 최소 10년 이상은 OOP로 게임을 개발할 것 같습니다. ​ 그러려면, 오래됐지만 여전히 효과적이고 옳은 길을 제시하고 있는 OOP의 설계 원칙들에 대해서도 한 번씩은 공부해야 할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형식적으로 원칙을 따져가며 지키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지만, 무지로 인해 원칙을 무시하고 짠 프로그램은 결코 좋은 설계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 S.O.L.I.D 직역하면 "단단한", "견고한"의 뜻을 가집니다. 아마도 선배 프로그래머들..

게임 프로그래밍을 잘 하면 팀에서 가장 이득을 보는 사람은?

© Pexels, 출처 Pixabay 회사의 팀 프로젝트 관련된 이슈가 말 그대로 폭발적으로 생겨나고 있습니다. 그만큼 만들어야 할 게임 시스템이며 로직들이 많다는 이야기인데요, 게임 프로젝트를 개발/서비스하다 보면 항상 없던 걸 만들어 붙이기만 하지는 않습니다. 새로운 걸 만들면서도, 기존의 것을 수정한 뒤에 추가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겁니다. 어떤 경우엔 기존의 걸 많이 제거하고 새로운 걸 조금 추가하게 되기도 합니다. ​ 기존의 걸 수정해야 하는 양이 많아진다면 자연스럽게 프로그래밍 시간도 그만큼 늘어나게 됩니다. 여기서, 프로그램의 구조 설계와 디자인이 잘 짜여 있다면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잘 짜인 프로그램이란,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책과 강연에서 말하는 걸 듣고 대략 제 생각을 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