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제 12

[책] 경제 상식 아는 척하기, 가볍게 훑어보는 경제 상식

. 대여했던 프로그래밍 책들 도서관에 반납하고, 새로운 프로그래밍 책을 또 두어권 빌렸습니다. 그런데... 요즘 너무 한 분야 책만 보는 것 같아 다른 분야 책도 가볍게 읽고싶어졌고, 경제관련 서적 코너에서 이것저것 찾아보다 한 권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 "경제 상식 아는 척하기" 2018년 출판. 제목도 표지 디자인도 뭔가 맘에들었습니다. 가볍고 재밌게 읽어볼 거리가 필요했거든요. 찾던 방향에 딱 맞게, 너무 깊지 않게 핵심만 짚어서 넓게 다양한 경제분야을 훑듯에 다뤄줍니다. 연봉이야기와 퇴직금, 창업, 세금, 필수보험, 금리, 신용, 연말정산, 물가, 통화 등등 여러가지를 가볍게 개념 위주로 다루듯 하는 것 같아서 사회 초년생 분들이나 이런 분야 잘 몰랐던 분들이 입문용으로 읽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경제 부가가치 유발과 게임산업

우연히 본 기사에서, 나라의 경제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주요 국가들 중 하위권이라고 합니다. ​잠깐 부가가치를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부가되는 가치, 즉 원래 가치에 추가되는 가치를 이야기합니다. 쉽게 예를 들어, 나무를 1000원에 사서 가구를 만들어 2000원에 팔았다면, 1000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했다고 보면 됩니다. © stevepb, 출처 Pixabay 저는 어릴 때부터 게임이야말로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이라고 생각했고, 실제로도 그랬습니다.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만 있다면, 컴퓨터와 개발자만 있으면 게임을 만들어 판매할 수 있으니까요. ​우리나라가 인터넷 강국이 되기 시작한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부터는 정부에서도 나서서 IT 산업과 서비스업을 강화해야 한다고 ..

728x90
반응형